Pyhton 배열 #배열로 만들기 age=[10,20,30,40,50,60,70,80,90,100] print(age) person=["홍길동","이순신","강감찬"] print(person[2]) print(person.index("이순신")) #idnex print(len(person)) #배열 총개수 person.append("유관순") print(person) person.insert(1,"세종대왕") #insert(인덱스번호, 추가할 값) print(person) print(person.pop()) #pop()값을 뒤에서부터 차례대로 가져옴 print(person.pop()) numbers = [5,8,7,1,9,3,2,6] numbers.sort() print(numbers) numbers.reverse() p.. 2022. 9. 21. Python %d(숫자), %s(문자,숫자) from random import #%d(숫자), %s(문자,숫자) print("포인트 %d가 있습니다." %6000) print("%s님 환영합니다." %"홍길동") print("%s님 포인트 %s가있습니다." %("이순신","5000")) #{}형태의 배열형태의 구성 print("{}님 회원등급은 {}입니다".format("유관순","실버회원")) print("입금하신 총 금액은 {}입니다".format(55000+200)) print("고객님 아이디{1}이며, 가입하신 이름은{0}입니다.".format("세종대왕","kings")) #변수명 형태로 출력가능하고 변수의 값을 외부로 받아서 출력시킬 수 있음 print("상품은{product}이며, 금액은 {money}입니다.".format(product="청소기",money=1000).. 2022. 9. 21. Python 문자열 자르기 #문자열을 자르기 및 해당 문자열 가져오기(배열구조이므로 무조건 0부터시작) gender="911101-2345678" print("성별: "+gender[7]) print("월일: "+gender[2:6]) #2부터~5까지.. print("생년월일:"+gender[:6])#무조건 0부터 시작해서 문자열 가져옴 print("주민번호 뒷자리:" +gender[7:]) #해당 문자열 번호부터 끝까지 가져옴 print("생년월일:"+gender[:-8]) #-1부터는 문자열에서 거꾸로넘버링하게됨 word="Python Programming" print(word.lower()) #lower(전체 소문자) print(word.upper()) #upper(전체 대문자) #is는 문자열에 대한 검토 할 때 사용하는 .. 2022. 9. 21. Python 절대값 math 반올림 올림 내림 ceil,floor #절대값 구하기 print(abs(-100)) #음수를 양수로 무조건 변경 >>100 print(pow(2,3)) #^제곱근 표 >>8 print(max(5,1)) #가장 값 >>5 print(min(5,1)) #가장 작은 값 >>1 #abs는 배열형태로 수정 후 양수로 변경 가능 그외 방식은 사용하지않음 print(max(1,5,8,7,11,3,6)) #>>11 #round:반올림0.5단위 print(round(3.74)) #>>4 print(round(3.11)) #>>3 #round외에 모듈 사용하는 경우 (floor, ceil) from math import * print(floor(3.74)) #>> 3 내림 print(ceil(3.74)) #>> 4 올림 #문법에 math없이 사용하는 방식 (.. 2022. 9. 21. Python 기본 문자 출력 / 산술연산 기호 username="홍길동" msg = "적립금" point = 5 money1 = 1000 money2 = 1500 money = money1 + money2 ''' #str(변수명)- 숫자를 바로 print로 적용 하지는 못합니다. #해당 숫자를 문자화 시켜서 출력하셔야 합니다. ''' print(username + "님 환영합니다.") print(username + "님 "+msg+"은 300원을 사용하셨습니다.") msg = "포인트" print(username + "님 "+msg+"은 "+str(money1)+"원 있습니다.") print(username,"님",msg,"는 %s원 있습니다" %money1) print("고객님은 현재 골드회원이며,"+msg+"은 "+str(point)+"% 적립됩.. 2022. 9. 21. 이전 1 2 3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