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당 데이터값을 모두 더하여 짝수인지 홀수인지 확인하세요.
Integer data[][] = { { 10, 20, 30, 40, 50, 60, 70 }, { 3, 6, 9, 12, 15, 17, 19 } };
->ArratList로 변환하여 구했습니다.
Integer data[][] = { { 10, 20, 30, 40, 50, 60, 70 }, { 3, 6, 9, 12, 15, 17, 19 } };
ArrayList<Integer[]> list3 = new ArrayList<>(Arrays.asList(data)); //ArrayList로 변환
int sum=0; //List의 총 합계를 더할 int 선언
for (int i = 0; i < list3.size(); i++) { // 전체 배열 반복문
for(int ii=0; ii < list3.get(i).length; ii++) {//배열의 길이 반복문
sum+=list3.get(i)[ii];
}
}
System.out.println(sum); //반복문 밖에서 총 합계 출력
if(sum%2==0) { //짝수의 경우
System.out.println("짝수입니다.");
}
else { //홀수의 경우
System.out.println("홀수입니다.");
}
결과값:
포인트:
1. 다차원 배열을 ArrayList<Integer[]> list3 = new ArrayList<>(Arrays.asList(data))로 변환시켜주기
2. List의 배열 길이의 문법은 size();
외에는 다차원 배열과 비슷한 흐름으로 흘러갑니다.
다차원 배열에서 중요한 점은 배열의 길이에 대한 개념입니다.
예를 들어,
Integer data[][] = { { 10, 20, 30, 40, 50, 60, 70 }, { 3, 6, 9, 12, 15, 17, 19 } };
의 length 의 값은 몇일까요? ->List일 경우엔 size()로 이해하면 되고요.
정답은 2입니다. 2개의 배열이까요.
그렇다면 lengh[0].lenth의 값은 얼마일까요?
정답은 7입니다.
배열 안에 7개에 숫자가있어요. 즉, 배열의 길이는 7입니다.
이점을 꼭!! 잊지마세용
찾아보니 아래 사이트에 잘 정리 되어있었어요.
https://www.delftstack.com/ko/howto/java/size-vs-length-in-java/
728x90
'JAVA > 배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/split] String 문자열 한 글자씩 배열에 저장하기 (0) | 2022.07.01 |
---|---|
[java/배열] String 2차 배열의 숫자, int로 변경 후 총 합구하기 Integer.parseInt (0) | 2022.06.26 |
[java/배열] 메소드 추가하여 사용자 입력값 출력 (0) | 2022.06.25 |
[java/2차배열] 2차 배열 값합을 짝수,홀수 배열로 만들기 (0) | 2022.06.25 |
[java/배열] String 배열 특정 값 글자 초과만 텍스트만 출력하기 (0) | 2022.06.25 |
댓글